1. 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이라 한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가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 대신 실행하면 그것은 프레임워크가 맞다.
- 반면 내가 작성한 코드가 직접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그것은 라이브러리이다.
2. 의존관계 주입 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와,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 의존 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
-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아도 분석할 수 있다.
- 클래스가 사용하는 import 코드만 보고 의존관계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동적인 객체 의존관계
-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실제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의 참조가 연결된 의존관계다.
-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런타임)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역전되는 것을 의존관계 주입이라 한다.
-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그 참조값을 전달해서 연결된다.
-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상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다.
-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3. IoC 컨테이너, DI 컨테이너
-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주는것을 IoC 컨테이너, 혹은 DI 컨테이너라 한다.
- 의존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에는 주로 후자로 부른다.
- 또는 어셈블러, 오브젝트 팩토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 스프링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 및 사용한다.
출저
인프런 강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김영한 강사님)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MVC 패턴 & 프론트 컨트롤러(Dispatcher-Servlet) (0) | 2023.01.29 |
---|---|
[Spring]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생성자 주입을 해야하는 이유) (0) | 2023.01.29 |
[Spring] 싱글톤 컨테이너 (0) | 2023.01.29 |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 (BeanFactory & ApplicationContext & BeanDefinition) (0) | 2023.01.29 |
[Spring]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0) | 2023.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