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외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날아 2023. 1. 31. 01:20

1.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  브라우저가 가지고있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이용해서 전체 페이지를 새로 고치지 않고도 페이지의 일부만을 위한 데이터를 로드하는 기법 이며 JavaScript를 사용한 비동기 통신,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XML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AJAX를 사용하는 이유
  • 단순하게 WEB화면에서 무언가 부르거나 데이터를 조회하고 싶을 경우,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기 위해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 기본적으로 HTTP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쪽에서 Request를 보내고 서버쪽에서 Response를 받으면 이어졌던 연결이 끊기게 되어있다. 그래서 화면의 내용을 갱신하기 위해서는 다시 request를 하고 response를 하며 페이지 전체를 갱신하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할 경우, 엄청난 자원낭비와 시간낭비가 일어난다. 
  • AJAX는 HTML 페이지 전체가 아닌 일부분만 갱신할 수 있도록 XMLHttpRequest객체를 통해 서버에 request한다. 이 경우, JSON이나 XML형태로 필요한 데이터만 받아 갱신하기 때문에 그만큼의 자원과 시간을 아낄 수 있다.

 

AJAX 장점
  • 웹페이지의 속도향상
  • 서버의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처리가 가능하다. 
  • 서버에서 Data만 전송하면 되므로 전체적인 코딩의 양이 줄어든다.
  • 기존 웹에서는 불가능했던 다양한 UI를 가능하게 해준다. 
  • 변경할 부분을 갱신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만 서버로부터 전송받기때문에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을 줄인다. 
  • 변경이 필요한 부분만 렌더링하기 때문에 화면이 순간적으로 깜박이는 현상이 사라진다.
  • 클라이언트 블로킹 X 

 

AJAX 단점
  • 히스토리 관리가 되지 않는다.
  • 페이지 이동없는 통신으로 인한 보안상의 문제가 있다.
  • 연속으로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 XMLHttpRequest를 통해 통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아무런 진행 정보가 주어지지 않는다. (요청이 완료되지 않았는데 사용자가 페이지를 떠나거나 오작동할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 Script로 작성되므로 디버깅이 용이하지 않다.
  • 동일-출처 정책으로 인하여 다른 도메인과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Cross-Domain문제)

 

AJAX 진행과정

  1. 클라이언트에 의한 요청 이벤트가 발생한다.
  2.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핸들러에 의해 자바스크립트가 호출된다.
  3. 자바 스크립트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하여 서버로 요청을 보낸다. 이때, 웹 브라우저는 요청을 보낸 뒤 서버의 응답을 기다릴 필요 없이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4. 서버는 전달받은 XMLHttpRequest객체를 가지고 Ajax 요청을 처리한다.
  5. 서버는 처리한 결과는 HTML, XML, 또는 JASON의 형태로 웹 브라우저에 전달한다.   

 

const get = (url) => {
	//XMLHttpRequest 객체 생성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HTTP 요청 초기화
    xhr.open('GET', url);
    
    //HTTP 요청 전송
    xhr.send();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한 경우 
    xhr.onload = () => {
    	if(xhr.status === 200) {
        	console.log(JSON.parse(xhr.response));
        }
   	};
};
  1. get 함수가 호출되면 call Stack에 쌓인다.
  2. 순차적으로 코드가 실행된다. 
  3. 실행하다가 onload라는 바인딩 작업을 만날 경우 Web API에 요청을 넘긴다.
  4. 자바스크립트는 그대로 콜스택의 나머지를 수행한다.
  5. 브라우저는 이와 별개로 Task Queue에 onload 이벤트 핸들러를 넣는다. (작업을 수행한다.)
  6. call stack과 Task Queue가 모두 완료되고 onload의 차례가 되면(클라이언트는 차례가 언제 오는지 알지 못한다.) Call stack에서 실행된다. 

출저

http://www.tcpschool.com/ajax/ajax_intro_works

https://www.youtube.com/watch?v=avfIUwDG2d8&list=PLgXGHBqgT2TvpJ_p9L_yZKPifgdBOzdVH&index=3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 VS. GraphQL  (0) 2024.03.27
Process vs Thread  (0) 2023.02.05